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키 점프, 노르딕 복합 경기를 포함하는 국제 스키 연맹(FIS) 주최 대회이다. 1924년 제1회 동계 올림픽의 노르딕 스키 경기를 시작으로, 동계 올림픽이 열리지 않는 해에 별도로 개최되다가, 1985년부터는 홀수 해에 2년 간격으로 개최되며 올림픽과는 별개의 대회로 치러진다. 1925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열린 대회가 최초의 공식 세계 선수권 대회로 인정받았으며, 이후 다양한 세부 종목들이 추가 및 변경되었다. 노르웨이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아직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 - 2021년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
2021년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는 독일 오버스트도르프에서 2월 23일부터 3월 7일까지 개최된 국제 노르딕 스키 대회로, 크로스컨트리 스키, 노르딕 복합, 스키 점프 세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노르웨이가 메달 순위 1위를 차지했다. - 192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모로코 그랑프리
모로코 그랑프리는 1925년 카사블랑카에서 시작된 자동차 경주 대회로, 초창기에는 투어링카 레이스로 개최되었으며, 1957년과 1958년에 포뮬러 원 경기가 열리기도 했다. - 192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벨기에 그랑프리
벨기에 그랑프리는 벨기에에서 열리는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 레이스로, 스파-프랑코르샹 서킷에서 시작되어 안전 문제 등으로 다른 서킷에서 개최되기도 했으며, 여러 사건과 명승부를 통해 F1 존속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 속에서도 상징성으로 인해 잔류 가능성이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 | |
---|---|
기본 정보 | |
종목 | 노르딕 스키 |
주최 | 국제 스키 연맹(FIS) |
개최 주기 | 2년 (1985년부터) |
첫 대회 | 1925년 |
세부 종목 | |
남자 |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키 점프 노르딕 복합 |
여자 |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키 점프 |
혼성 | 스키 점프 |
관련 대회 | |
동계 올림픽 | 동계 올림픽 |
기타 | |
웹사이트 | FIS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24년 샤모니에서 열린 제1회 동계 올림픽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키 점프, 노르딕 복합 경기를 제1회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로 간주한다. 초기에는 동계 올림픽과 함께 개최되거나 매년 개최되었으나, 1985년부터 홀수 해에 2년 간격으로 개최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1980년에는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에 포함되지 않은 여자 20km 크로스컨트리 종목만으로 대회가 열렸고, 1984년에는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에 포함되지 않은 스키점프 단체전과 노르딕 복합 단체전 종목으로 대회가 열렸다.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는 올림픽과 달리 2년마다 개최되어 선수들이 기량을 꾸준히 발휘할 기회가 더 많고, 출전 선수 제한도 없어 실력 있는 선수들이 더 많이 참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 대회는 때로는 올림픽보다 선수들에게 더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하며, 특히 북유럽, 알프스 지역을 포함한 유럽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924년 ~ 1939년)
1924년 프랑스 샤모니에서 열린 제1회 동계 올림픽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키 점프, 노르딕 복합 경기를 제1회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로 간주한다.[1] 이때부터 1939년까지는 동계 올림픽이 열리는 해에는 동계 올림픽 대회로 대체하고, 그 외의 해에는 매년 별도의 개최지에서 세계 선수권 대회를 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가,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린 제5회 동계 올림픽 경기 때 제17회 대회로 부활하였다.국제스키연맹(FIS)은 1925년부터 1927년까지 연례 랑데부(Rendezvous) 경주를, 1929년부터 1935년까지 연례 FIS 경주를 개최하였다. 1936년 FIS 총회에서 최초의 세계 선수권 대회를 1937년 샤모니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하였고,[1] 1965년 FIS 25차 총회에서 모든 랑데부와 FIS 경주에 공식 세계 선수권 대회 지위를 부여하였다.[2] 이 결정으로 1925년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 (얀스케 라즈네)가 최초의 공식 세계 선수권 대회로 인정받게 되었다.
1941년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는 1946년 16차 FIS 총회에서 세계 선수권 대회가 아니라고 선언되었고,[3] 그 결과는 공식 기록에서 삭제되었다.
# | 연도 | 개최지 | 비고 |
---|---|---|---|
1 | 1925년 | 체코슬로바키아 얀스케 라즈네 | "만남 경주(Rendezvous races)"로 명칭 |
2 | 1926년 | 라흐티 | "만남 경주(Rendezvous races)"로 명칭 |
3 | 1927년 | 코르티나 담페초 | "FIS 경주(FIS races)"로 명칭 |
4 | 1929년 | 자코파네 | "FIS 경주(FIS races)"로 명칭 |
5 | 1930년 | 오슬로 | |
6 | 1931년 | 오베르호프 | |
7 | 1933년 | 인스브루크 | "FIS 경주(FIS races)"로 명칭. 크로스컨트리 계주 종목 첫 도입 |
8 | 1934년 | 솔레프테오 | "FIS 경주(FIS races)"로 명칭 |
9 | 1935년 | 비스케 타트리 | "FIS 경주(FIS races)"로 명칭 |
10 | 1937년 | 샤모니 | 첫 공식적인 FIS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
11 | 1938년 | 라흐티 | |
12 | 1939년 | 자코파네 |
2.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 ~ 1984년)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린 제5회 동계 올림픽 경기 때 제17회 대회로 부활하였다.[1] 국제스키연맹(FIS)은 1946년 16차 총회에서 1941년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는 세계 선수권 대회가 아니라고 선언했고,[3] 그 결과는 공식 기록에서 삭제했다. 이후 2년 간격으로 개최되다가, 1980년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와 1984년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는 총 3개 종목만으로 구성되었다. 1980년 여자 20km 크로스컨트리와 1984년 스키점프 단체전, 노르딕 복합 단체전이 그것이다. 이 종목들은 1980년 동계 올림픽과 1984년 동계 올림픽에서 열리지 않았기 때문에 별도의 세계 선수권 대회가 열리게 되었다.4년에 한 번씩 열리는 큰 무대라는 압박감 때문에 실력 있는 선수가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한 국가에서 출전할 수 있는 선수 수에 제한이 있는 올림픽과 달리, 격년으로 개최되며 예상대로 실력 있는 선수가 우승하는 경우가 많은 이 대회는 때로는 올림픽보다 선수들에게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그 때문에 유럽(특히 북유럽, 알프스)에서는 엄청난 인기를 자랑하고 있다.
2. 3. 현대 (1985년 ~ 현재)
1985년부터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는 홀수 해에 2년 간격으로 개최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동계 올림픽은 세계 선수권 대회와 별개의 대회로 치러지게 되었다.[1]다음은 새로운 종목이 처음 추가된 시기를 보여주는 목록이다.
연도 | 종목 |
---|---|
1933년 | 남자 계주 (크로스컨트리) 추가 |
1954년 | 여자 10km와 3 × 5km 계주 추가, 남자 18km (크로스컨트리)를 15km로 변경 |
1962년 | 남자 노멀힐 (스키점프)과 여자 5km (크로스컨트리) 추가 |
1978년 | 여자 20km (크로스컨트리) 추가 |
1982년 | 남자 스키점프 단체 라지힐과 노르딕 복합 단체 라지힐 추가 |
1989년 | 여자 15km (크로스컨트리) 추가, 여자 20km를 30km로 변경 |
1991년 | 남자 10km (크로스컨트리) 추가 |
1993년 | 크로스컨트리 퍼슈트 (남녀) 추가 |
2001년 | 남자 스키점프 단체 노멀힐 추가, 크로스컨트리 스프린트 (남녀)가 남자 10km와 여자 5km 대체 |
2003년 | 여자 30km와 남자 50km (크로스컨트리)가 인터벌 스타트에서 매스 스타트로 변경 |
2005년 | 크로스컨트리 단체 스프린트 (남녀) 추가 |
2009년 | 여자 노멀힐 (스키점프) 추가 |
2011년 | 노르딕 복합 단체 노멀힐 추가 |
2013년 | 혼성 단체 (스키점프) 추가, 단체 스프린트 라지힐 (노르딕 복합)이 단체 라지힐을 대체 |
2019년 | 여자 단체 노멀힐 (스키점프) 추가 |
2021년 | 여자 노르딕 복합과 여자 라지힐 (스키점프) 추가 |
2023년 | 노르딕 복합 혼성 단체전이 남자 단체 스프린트 라지힐을 대체 |
2025년 | 남자 10km가 15km (인터벌 스타트, 크로스컨트리)를 대체, 여자 50km가 30km (매스 스타트, 크로스컨트리)를 대체, 남녀 4x7.5km가 남성 4x10km와 여성 4x5km (계주, 크로스컨트리)를 대체, 남녀 20km가 남성 30km와 여성 15km (스키애슬론, 크로스컨트리)를 대체, 남성 컴팩트 7.5km가 군더센 10km (노멀힐, 노르딕 복합)를 대체, 여성 매스 스타트 5km + 노멀힐 (노르딕 복합)과 남녀 패럴림픽 스프린트 (패럴림픽 크로스컨트리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분리) 추가[4] |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의 세부 종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꾸준히 변화해 왔다.
2년 주기로 개최되고 예상대로 실력 있는 선수가 우승하는 경우가 많은 이 대회는 때로는 올림픽보다 선수들에게 더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하며, 그 때문에 유럽(특히 북유럽, 알프스 지방)에서는 큰 인기를 얻고 있다.
3. 세부 종목 변천사
3. 1. 크로스컨트리 스키
연도 | 내용 |
---|---|
1933 | 남자 계주 추가 |
1954 | 여자 10km, 여자 3x5km 계주 추가, 남자 18km를 15km로 변경 |
1962 | 여자 5km 추가 |
1978 | 여자 20km 추가 |
1989 | 여자 15km 추가, 여자 20km를 30km로 변경 |
1991 | 남자 10km 추가 |
1993 | 남녀 크로스컨트리 퍼슈트 추가 |
2001 | 남녀 크로스컨트리 스프린트 추가, 남자 10km와 여자 5km 대체 |
2003 | 여자 30km와 남자 50km를 인터벌 스타트에서 매스 스타트로 변경 |
2005 | 남녀 크로스컨트리 단체 스프린트 추가 |
2025 (예정) |
3. 2. 스키 점프
1962년 대회에서 남자 노멀힐 종목이 추가되었다.[6] 1982년 대회에서는 남자 단체 라지힐 종목이 추가되었다.[6] 2001년 대회에는 남자 단체 노멀힐 종목이 추가되었다.[6] 2009년 대회에서는 여자 노멀힐 종목이 처음으로 도입되었다.[6] 2013년 대회에는 혼성 단체 종목이 추가되었다.[6] 2019년 대회에서는 여자 단체 노멀힐 종목이,[6] 2021년 대회에서는 여자 라지힐 종목이 추가되었다.[6]3. 3. 노르딕 복합
Gesamtnordisch|게삼트노르디슈de 종목은 1925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당시에는 "만남 경주(Rendezvous races)"로 불렸다.[5] 1982년 오슬로 대회에서는 남자 단체 라지힐 종목이 추가되었다.[6] 1999년 람자우 암 다흐슈타인 대회에서는 남자 스프린트 종목이 추가되었다.2009년 리베레츠 대회에서는 노르딕 복합 매스스타트 종목만 포함되었다. 2011년 오슬로 대회에서는 남자 단체 노멀힐 종목이 추가되었고, 2013년 발 디 피엠메 대회에서는 단체 스프린트 라지힐이 단체 라지힐을 대체하였다.
2021년 오버스트도르프 대회에서는 여자 노르딕 복합 개인전 종목이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2023년 플라니차 대회에서는 노르딕 복합 혼성 단체 종목이 남자 단체 스프린트 라지힐을 대체하며 새롭게 도입되었다.
2025년 트론헤임 대회에서는 남성 컴팩트 7.5km가 군더센 10km (노멀힐)를 대체하고, 여성 매스 스타트 5km + 노멀힐이 추가될 예정이다.
역대 노르딕 복합 메달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순위 | 선수 | 국가 | 종목 | 기간 시작 | 기간 종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총계 |
---|---|---|---|---|---|---|---|---|---|
6 | 로니 아커만 (Ronny Ackermann) | align="left" | | 노르딕 복합 | 2001 | 2007 | 4 | 1 | 1 | 6 |
8 | 야를 마그누스 리베르 (Jarl Magnus Riiber) | 노르웨이 | 노르딕 복합 | 2019 | 2023 | 4 | 1 | – | 5 |
10 | 에릭 프렌젤 (Eric Frenzel) | align="left" | | 노르딕 복합 | 2011 | 2019 | 3 | 1 | 1 | 5 |
요하네스 리드젭 (Johannes Rydzek) | align="left" | | 노르딕 복합 | 2011 | 2017 | 3 | 1 | 1 | 5 |
4. 역대 개최지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는 1925년 체코슬로바키아의 요하니스바드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1939년까지는 매년 개최되었고, 1948년 이후에는 짝수 해마다 개최되도록 변경되었다.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까지는 동계 올림픽과 세계선수권대회를 겸하여 개최되었으나, 1985년부터는 홀수 해마다 개최되어 완전히 독립된 대회가 되었다.
- 1941년 대회는 1946년 FIS 회의에 의해 비공식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결과는 공식 기록에서 삭제되었다.
- 1980년에는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에 여자 크로스컨트리 20km 종목이 없었기 때문에 별도로 개최되었다.
- 1984년에는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에 스키점프 단체전과 노르딕 복합 단체전 종목이 없었기 때문에 별도로 개최되었다.
역대 개최지는 다음과 같다.
# | 대회명 | 개최지 | 실시 종목 | 비고 |
---|---|---|---|---|
제1회 | 샤모니 동계올림픽 | 프랑스・샤모니 | 4 (2xCC,1xNC,1xJP) | |
제2회 | FIS 1925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 체코슬로바키아・요하니스바드 | 4 (2xCC,1xNC,1xJP) | |
제3회 | FIS 1926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 핀란드・라흐티 | 4 (2xCC,1xNC,1xJP) | |
제4회 | FIS 1927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 이탈리아 왕국・코르티나 담페초 | 4 (2xCC,1xNC,1xJP) | |
제5회 | 산모리츠 동계올림픽 | 스위스・산모리츠 | 4 (2xCC,1xNC,1xJP) | |
제6회 | FIS 1929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 폴란드 ・자코파네 | 4 (2xCC,1xNC,1xJP) | |
제7회 | FIS 1930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 노르웨이・오슬로 | 4 (2xCC,1xNC,1xJP) | |
제8회 | FIS 1931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 독일 |
5. 메달 집계
러시아ru
러시아ru